부동산 정보

1•3 부동산 규제 완화 후 실수요자 투자 전략은?

빌딩림 2023. 2. 10. 18:14


안녕하세요. 빌딩림의 꼬빌공입니다.

오늘은 1•3 부동산 대책 후 시장 상황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또한, 실수요자의 투자 전략을 앞으로 어떤 방향성으로 나가야 하는지도 알려드리겠습니다.

강남구 등 수도권 광역급행열차 GTX 수혜 지역과 같이 입지 선점이 중요하고 매매가가 고점 대비 30% 이상 떨어진 지역 등의 급매물 위주로 투자 지역과 투자 관점을 돌리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아직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을 단정하기엔 이른 감이 있지만 매매시장의 가격 폭락세는 주춤한 모습입니다. 이에 반해 아파트와 분양 시장은 얼어붙은 모습이 여전한데요. 청약 미달이 줄줄이 나와 건설사들의 비상이 걸렸습니다.

1. 규제지역 해제(강남3구•용산 제외)
2. 실거주 요건 완화
3. 다주택자 포함 부동산 보유세•거래세 인하


이 모든 규제 정책 완화로 인해 금리 상승이 대한
부동산 시장이 진정되는 추세입니다.
부동산 시장의 사이클이 있듯이,
침체기는 지속될 수 없습니다.

정책 완화 효과


-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 거래량

- 지역별로 온도 차가 있는 하락폭 :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 대한 기대감으로 경기 화성 동탄신도시, 의왕시 등에선 고점 대비 40% 넘게 떨어진 거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늘어나고 있다.

이 사태로 금융시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아파트 계약자에게 다양을 혜택을 주는 방안도 필요합니다.

- 대출을 늘려서 집 마련한 ‘영끌족’ 금리가 올라 이자 부담도 두 배 이상 올라 집을 급매로 처분하는 사태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정부 정책 상품 중에서 특례 보금자리 등을 이용해 고금리 위험 부담을 줄이셔야 합니다.

- 앞으로 개발호재인 GTX 수혜 지역에 집을 마련한 사람들의 대책 : 침체기는 지속되지 않으니 풀릴 경기를 대비해 급하게 집을 매도해서는 안 됩니다.

-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무주택자는 대출을 크게 받아서 집을 마련하긴 위험하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자금 여력이 있으시다면 청약과 매수를 고려해도 크게 상관이 없겠죠.
올 하반기부터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많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부동산 시장을 빌딩림의 꼬빌공과 함께 지켜보면서 매수 시점의 방향성을 잡아드리겠습니다.

https://pf.kakao.com/_wNxmxnxj

빌딩림의 꼬빌공

꼬마빌딩공인중개사 빌딩림의 부동산의 기초부터 함께하는 1일1공부

pf.kakao.com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추가 후
채팅 상담도 가능합니다.